(사)한국차인연합회

본문 바로가기


    연합회소개    주요업적

주요업적
+ 일지암복원
해남 대둔사 본당 남쪽 가파른 산길 1킬로 위쪽, 두륜산 동쪽 꼭대기에 있는 일지암은 차성(茶聖)
초의(草衣 張意恂 1786·1866)선사가 39세인 1824년에 띠집을 지어 40 여년간 주석한 한국 차문화 중흥의 상징인 곳이다.

“뱁새는 항상 한 마음으로 살기 때문에 나무 한가지에만 있어도 편하다”는 한산시(寒山詩)의
일지(一枝)를 따 일지암(一枝菴)이라 부르고, 연못을 파고, 백운천(白雲泉)에서 끌어온 온 유천수로 차를 우리던
초의선사는 이 곳에서 다산(茶山), 추사(秋史), 소치(小癡) 등 당대의 많은 학자와 정치가, 예술가들과 폭넓은 교제를 하였고,
한국 차문화사에 유일한 <동다송>을 저술하였다.

초의선사는 1786년 4월 5일 전남 무안군 삼향면에서 태어나 운흥사 벽봉민선(碧峰敏性)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대흥사 완호(琓虎)스님께 구족계를 받고 법맥을 이었으며 초의라는 법호를 받았다. 무엇보다 뛰어난 대종사로 불교
중흥에 이바지 하였으며 선과 교, 유교와 도교 등 제반 학문에 조예가 깊고 범서에도 능통하고 범패와 시,서,화에 뛰어났다.
특히 다선일미(茶禪一味) 사상에 심취하여 <다신전>을 초록하고 차를 통한 다선삼매를 그대로 실천하였던 차인이다.
혼자 있으면 구름과 달을 벗삼아 차를 다리며 시를 읊고, 당대 최고의 석학들과 차와 선을 논하며 끊임없이 차향이 피어나던
일지암은 1866년 스님이 입적하자 소나무 숲이 깊은 곳이어서인지 차츰 사람의 발길이 끊어져 폐허가 되었다.

1979년 한국차인연합회가 복원한 차의 聖地

일지암이 역사에서 사라진지 1백 13년 만인, 1979년 1월 20일 서울 무역회관 그릴에서 승려, 학자, 예술가 등 50명과
참가객 26명이 모였다. 그들은 전통 차문화를 복구하여 차생활 예절로 도덕성을 회복하자는 취지로 대둔사 일지암을 복원하여
차의 성지로 만들자는 의견에 동의하고 회명을 차인회(한국차인연합회의 전신)로 하였다.

일지암 복원 추진위원장은 해남신문사 발행인인 김봉호씨가 맡아 김미희 여사와 박동선 고문, 박종한, 박태영 고문 외에
여러 사람이 동참하고, 남농 허건 화백을 비롯한 20여명의 서화가들이 작품을 전시하는 등 2천 5백만원의 기금을 마련하였다.
<몽화편>에 의거하여 응송스님을 업고 다니며 일지암터를 고증하였으며 설계는 에밀레 박물관장이던 조자용박사가 맡아
예천 고가 목재로 6.5평짜리 모실(茅室 )한동과 15.3평 자리 부속건물과 연못 등을 되살렸다.

다실인 초정(草亭)은 가운데 방 한칸을 두고 사면에 툇마루를 두른 원두막꼴로 부엌에 차부뚜막이 있고, 본당격인
초의모정와가(草衣茅亭瓦家)는 연못에 평석을 쌓아 올린 4개의 돌기둥이 누마루를 바치게 하여 독특한 운치를 자아낸다.
2개의 돌확에는 사시사철 유천수가 흐르고 멀리 구름낀 산을 내려다보며 자연과 우주의 섭리를 음미하는 초의의 시, 선,
차의 경지가 어우러진 차의 산실이 다시 되살아난 것이다.

1979년 6월 5일 시작하여 연말에 완공하였으나 상주할 스님을 찾지못해 다음 해인 1980년4월 6일 오전 10시
한국차인회(회장 이덕봉) 회원 300여명이 모여 낙성식을 가졌다. 1980년도부터 11년간 용운스님이, 1991년 가을부터
현재까지 여연스님이 암주로 있으며 1995년에 법당과 요사체를 새로 건립하였고 2003년에 초의차문화연구원을 설립하여
활발하게 초의선사의 차정신을 전하고 있다.